본문 바로가기

WORKS30

[JSP] JSP : session 이용 장바구니 기능 만들기 JSP의 내장객체 session을 활용하여 장바구니 기능을 만들어보았다. 페이지들의 이름은 명시해두었고, 이하 08_.jsp ~ 12_.jsp로 언급하겠다. 첫 페이지 : 08_Login.jsp 1. [18] 첫 페이지에서는 이름만 입력하고 로그인하도록 하였다. 입력한 이름을 form태그를 이용해서 값을 전달하도록 설정하였다. 두 번째 페이지: 09_setProduct.jsp 1. [16-17] 두 번째 페이지에서 이름값을 request를 이용해 가져온 뒤 그것을 다시 session에 저장해준다. 2. [19] 구매를 원하는 품목을 선택했을 때 담을 리스트를 ArrayList 타입의 list라는 이름으로 부를건데, itemList라는 이름으로 세션에 설정해 둔 값을 가져올 것이다. 그런데 itemList.. 2022. 2. 17.
[Python] Python & Data Science 카이스트에서 공부하고있는 대학교 선배님이 재능기부로 하시는 무료 파이썬 강의를 우연히 듣게 되었다.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지어 강의할 예정이라고 하셨지만 아예 파이썬을 모른다는 가정 하에 하실거라고 하셔서 일단 이번 세션에서는 파이썬을 훑게 되었다. 우선 다음 주 정도 까지는 완전 후르륵 듣고.. 해야할 일이 많기 때문에 자격증 이후에 개인적으로 틈틈히 공부할 예정이다. 2022.02.16. 수요일 필기 week1 (Introduction to Python & Data Science) google colab or jupyter notebook 이용 Data Science? Analizing -> data mining Data mining 체크리스트 1. Data cleaning 데이터 정제 2. Data .. 2022. 2. 17.
[JSP] 에러페이지 설정하기 | 404 not found | JSP Error Page 에러코드가 발생했을 경우 보여지는 에러페이지를 만들어보자. 에러페이지를 직접 경험해보자. 아래는 일반적인 네이버 스포츠 홈페이지이다. URL에 장난을 좀 치니 아래와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이건 네이버측에서 설정해 둔 에러페이지이다. 이게 본래는 떠야 하는데! 네이버에서 에러페이지를 설정해두었기 때문에 예쁜 아이가 뜨게 되는 것이다. 나만의 페이지에서 에러페이지를 제작해보았다. 우선 기본 홈페이지이다. 보이는 모습은 간단한 헤드, 바디로만 이루어진 페이지에 귀여운 아스키코드를 넣어 심심하지 않게만 설정해두었다. 첫 번째, 기본 홈페이지에서는 에러페이지를 지정을 해주어야 한다. 자주 발생하는 404, 500같은 에러를 예를 들어보자. MyHomePage.jsp에서 해당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위에서 본 것같.. 2022. 2. 14.
[HTML] html 태그 01: 들여쓰기:   공백문자 / blockquote 자동 들여쓰기 html에서 들여쓰기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공백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를 들여쓰기를 원하는 문자열 앞에 써주면 된다. 이 경우 줄 바꿈 없이 계속해서 들여쓰기가 된다. 그대로를 문자열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title에 쓴 것 처럼 &amp: nbsp;를 쓰면 된다. 활용 예시 동해물과 백두산이 공백 처리되었기 때문에 앞 부분에 살짝 indent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섯 번을 해서 나타난 페이지의 경우 아래와 같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들여쓰기 하고싶은 만큼 를 써주면 된다. 다음은 태그를 사용하여 html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blockquote 태그를 이용한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보면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깊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에는 문서에 줄 긋기, 이미지 하이퍼링크 걸기,.. 2022. 2. 13.
[JSP] JSP action tag / jsp 액션태그 (include, forward) include 액션 다른 페이지를 현재 페이지에 포함 이 때 url에는 include를 사용한 jsp의 파일명으로 나타나고 보여지는 페이지에는 내 jsp파일 안에 다른 페이지의 데이터를 포함해서 같이 보여주기 때문. forward 액션 현재 페이지의 제어를 다른 페이지로 전달 이 때 url에는 forward를 사용한 jsp의 파일명으로 나타나고 보여지는 페이지에는 forward를 사용하여 부른 페이지만이 나타난다. 즉, 부르는 페이지의 이름으로 다른 페이지가 보여지는 것!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을 다시 짚어보자. jsp1.jsp에서 forward 액션 태그를 사용하여 jsp2.jsp를 불렀다고 생각하자. 이 때 url에는 jsp1.jsp으로 표시되지만 실제 우리에게 보여지는 페이지는 jsp2의 내용일 것이.. 2022. 2. 11.
[Server] Tomcat vs WAS | Web Server와 WAS | 정적컨텐츠 동적컨텐츠 Tomcat과 WAS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야옹. WAS(Web Application Server) - 개념 DB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이다. Web Container 혹은 Servlet Container라고도 불린다. (Container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다시 말해 내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내고 다시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역할 웹 서버 + 웹 컨테이너 두가지가 합쳐진 것 Web Server 기능들을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시됨(분산환경.. 2022. 2. 10.